SSL ( Secure Socket Layer)
SSL은 또한 웹 서버 인증, 서버 인증이라고 불리는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제 3자가 보증해주는 전자화된 문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한 직후에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이 인증서 정보를 전달한다. 클라이언트는 이 인증서 정보가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를 검증한 후에 다음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해커가 개인 정보 및 금융 정보를 포함한 전송되는 모든 정보를 열람하거나 훔치는 것을 방지한다.
Netscape사에서 웹서버와 웹브라우저간의 보안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공개키/개인키 대칭키 기반으로 사용한다.
https로 통신하는 웹사이트를 이용하다보면 인증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인증서에는 인증서의 해당 사이트의 공개키와 사이트의 정보들이 있다. 인증서가 전송될 때는 인증기관이 제공하는 개인키로 암호화하여 전송된다. 인증서 또한 만약 해커에 의해 인위적으로 만들어졌다면 사용자의 정보가 노출이 될 수 있는데 이를 막기 위해 인증기관의 공개키를 브라우저에 알려주고 브라우저는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공개키가 아닌 브라우저의 공개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상이 인증기관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다.
절차는 아래와 같다.
- 사이트에서 인증기관(CA: Certificate Authority)에 인증요청
- 인증기관에서 검증 후에 사이트의 공개키와 정보를 인증기관의 개인키로 암호화, 인증기관의 공개키는 브라우저에 제공
- 사용자가 사이트로 접속 요청시 사이트는 인증서 전송
- 사용자는 브라우저에 내장된 공개키로 인증서를 복호화 -> 사이트의 공개키로 대칭키를 암호화하여 전송
- 사이트는 전송받은 암호화된 대칭키를 사이트의 개인키로 복호화 -> 사용자, 사이트 같은 대칭키 획득
- 전송시 해당 대칭키로 암호화하여 전송
SSL 과 HTTPS
HTTPS 위 SSL 프로토콜 위에서 돌아가는 프로토콜이다. 즉 HTTPS로 데이터를 전송 시작할 때, SSL이 데이터 보안을 제공한다.
TLS?
TLS: 전송 계층 보안(Transport Layer Security, TLS)
네스케이프에 의해서 SSL이 발명되었고, 이것이 점차 폭넓게 사용되다가 표준화 기구인 IETF의 관리로 변경되면서 TLS라는 이름으로 바뀌었습니다. TLS 1.0은 SSL 3.0을 계승합니다. TLS 라는 명칭보다는 SSL이라는 명칭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암호화 기법
대칭키
암호를 만드는 행위인 암호화를 할 때 사용하는 키에 따라서 암호화된 결과가 달라진다. 키를 모르면 암호를 푸는 행위인 복호화를 할 수 없다. 대칭키는 동일한 키로 암호화와 복호화를 같이 할 수 있는 방식의 암호화 기법을 의미합니다. 즉 암호화를 할 때 1234라는 값을 사용했다면 복호화를 할 때 1234라는 값을 입력해야 한다.
공개키
대칭키 방식은 암호를 주고 받는 사람들 사이에 대칭키를 전달하는 것이 어렵다. 대칭키가 유출되면 공격자는 암호의 내용을 복호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암호가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배경에서 나온 암호화 방식이 공개키 방식이다.
공개키 방식은 두개의 키가 있다. A키를 암호화를 하면 B키로 복호화할 수 있고, B키로 암호화하면 A키로 복호화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 착안해서 두개의 키 중 하나를 비공개키(private key, 개인키, 비밀키라고도 부릅니다)로 하고, 나머지를 공개키(public key)로 지정합니다. 비공개키는 자신만이 가지고 있고, 공개키를 타인에게 제공합니다. 공개키를 제공 받은 타인은 공개키를 이용해서 정보를 암호화한다. 암호화한 정보를 비공개키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전송한다. 비공개키의 소유자는 이 키를 이용해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한다. 이 과정에서 공개키가 유출된다고해도 비공개키를 모르면 정보를 복호화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하다. 공개키로는 암호화할 수 있지만 복호화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방식은 이렇게 응용할 수도 있다. 비공개키의 소유자는 비공개키를 이용해서 정보를 암호화 한 후에 공개키와 함께 암호화된 정보를 전송한다. 정보와 공개키를 획득한 사람은 공개키를 이용해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 한다. 이 과정에서 공개키가 유출된다면 의도하지 않은 공격자에 의해서 데이터가 복호화 될 위험이 있다. 위험에도 사용 될 때는 데이터를 보호하는 것이 목적이 아닐 때 사용된다. 암호화된 데이터를 공개키를 가지고 복호화 할 수 있다는 것은 그 데이터가 공개키와 쌍을 이루는 비공개키에 의해서 암호화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공개키가 데이터를 제공한 사람의 신원을 보장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전자 서명이다.
참고 문서
'개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힙이란? / What is the Heap Data Structure (0) | 2021.02.06 |
---|---|
해시테이블이란? ( What is a hash table?) (0) | 2021.02.06 |
텔넷이란? (Telnet) (0) | 2021.01.04 |
데이터베이스(DB) 종류 (0) | 2020.04.03 |
인프라란? (0) | 2020.03.23 |